티스토리 뷰
[음악 영화] 뮤직 네버 스탑 (The Music Never Stopped) & 그레이트풀 데드 (The Grateful Dead)
samddle 2017. 12. 20. 04:02뮤직 네버 스탑 (The Music Never Stopped, 2011)
감독 - 짐 콜버그
주연 - J.K 시몬스(J.K. Simmons), 루 테일러 푸치(Lou Taylor Pucci), 카라 세이무어(Cara Seymour), 줄리아 오몬드(Julia Ormond)
이 영화는 "소생"의 원작자로 유명한 신경과 의사 올리버 색스(Oliver Sacks) 박사의 에세이 "화성의 인류학자: 뇌신경과의사가 만난 일곱 명의 기묘한 환자들" 중의 한 토막인 <마지막 히피>가 원작이며 뇌신경손상으로 인해 60년대에서 시간이 멈춰 버린 아들과 아버지가 공감대를 형성해 가는 휴먼 드라마이다.
1986년, 헨리와 헬렌 부부에게 한 통의 전화가 걸려온다. 20년 가까이 만나지 못한 아들 가브리엘이 뇌종양으로 병원에 입원했다는 것, 그리고 기억에 장애가 있다는 것. 가브리엘이 어릴 때, 헨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아들에게 들려주면서 "이 노래 제목과 기원은? "과 같은 퀴즈를 내고 있었다. 이렇게 가브리엘은 음악을 좋아하게 되었고, 성인이 되자 60년대 히피 세대의 락밴드를 결성하게 된다. 아버지는 아들이 좋아하고 연주하는 음악을 내키지 않아 했지만 아들이 하는 공연을 보러 가기로 한다. 아들(가브리엘)이 공연 중에 성조기에 불을 붙여 휘두르는 것을 본 헨리는 격노하게 되고 결국 두 사람은 말다툼 끝에 가브리엘은 가출을 하게 된다.
20년만에 아들(가브리엘)은 돌아왔지만 뇌종양으로 인한 기억 장애로 대화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아버지는 음악을 통해 아들의 기억을 되찾으려 한다. 그러나 아버지(헨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 장르에 집착한다. 음악 치료사는 가브리엘의 기억을 되 찾기 위해서는 아버지가 좋아하는 음악이 아니라 아들이 좋아하는 음악이라는 걸 깨닫고, 비틀즈(The Beatles), 그레이트풀 데드(The Grateful Dead)의 음악을 이용한다. 아들(가브리엘)은 이들의 음악을 들으면서 당시의 자신으로 돌아가 그때 만큼은 정상적인 상태가 된다.
그레이트풀 데드는 가브리엘이 가출을 하게 된 계기가 된 밴드이다. 이 밴드의 콘서트에 가고 싶었던 아들(가브리엘)이지만 아버지(헨리) 때문에 콘서트에 늦게 되고 티켓은 매진이 되어 버렸다.
아버지 헨리는 가브리엘의 상황을 이해하고 이번에는 자신이 아들의 음악을 이해하려고 맘 먹는다. 65세의 헨리가 20년 전의 록(Rock)음악을 듣고 아들(가브리엘)과 대화를 나눈다. 헨리는 심장병이 있었고, 크리스마스가 오기 전에 쓰러지고 만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헨리는 그레이트풀 데드의 콘서트 티켓을 무료로 선물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전화를 걸었다. 진행자가 문제를 내면 헨리는 답을 맞춰야 하는 것. 운이 좋게도 정답은 음악 치료사와 아들(가브리엘)이 처음 봤을 때에 나누었던 대화에 있었다. 정답은 그레이트풀 데드의 <Uncle John 's Band>였다. 헨리는 그레이트풀 데드의 공연 티켓으로, 아들(가브리엘)과 보러 가기로 하지만 의사는 헨리의 심장에 무리가 갈 것을 우려하여 반대한다. "20년 동안 아들을 잃었습니다. 나는 65살이고 중병에 걸렸습니다. 아들과 대화를 하고 싶습니다." 결국, 의사는 콘서트에 가는 것을 허락했고, 헨리와 가브리엘은 함께 콘서트를 즐겼다.
"피그팬(Ron "Pigpen" McKernan :그레이트풀 데드의 키보디스트로 1973년에 사망)은 어디에 있지?" 기억이 멈춰있는 가브리엘의 질문에 헨리가"그는 죽었어."라고 말했다. 가브리엘은 1964년 부터 1970년 까지의 음악을 기억하고 있지만, 그 다음에 일어난 피그팬이나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 제니스 조플린(Janis Joplin)이 죽은 것은 모르는 것이다. 새로운 기억도 당연히 머리에 남지 않는다. 하지만 콘서트 후 가브리엘은 "두번 다시는 기억을 잊지 않을 테야." 라고 말하게 되고 이에 헨리는 최고의 행복감을 맛보게 된다.
헨리의 장례식에서 흐르는 음악은 헨리의 유언에 따라 그레이트풀 데드의 <Touch Of Grey>가 흘러 나오게 되고 그것을 들으면서 가브리엘은 어머니에게 의지하면서 눈물을 흘린다. 장례를 치른 후, 돌아 오는 길에 가브리엘은 어머니에게 <Touch Of Grey>에 대한 추억을 얘기 하면서 묘지를 뒤로 한다.
<Touch Of Grey>는 그레이트풀 데드가 1987년에 발표 된 신곡으로 아버지(헨리)와 함께 간 콘서트에서 처음들은 곡이다. 콘서트 도중 가브리엘은 "모르는 곡인 데 "라고 말하는 가브리엘에게 헨리가"신곡일 걸"이라고 하면서도 두 사람은 그 노래를 따라부른다. 그레이트풀 데드를 통해 아버지와의 추억을 기억하고 가브리엘.
이 영화는 1960년대의 음악 이야기가 가득하지만 스토리 그 자체로도 정말 훌륭하다. 그레이트풀 데드의 노래를 영화 제목으로 하고 있으며 이것은 영화 내용과 너무나 매치가 잘 되고 있다. 그리고 헨리의 장례식에 흘러 나온 곡이 헨리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아니라 아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계기가 되었던 그레이트풀 데드의 <Touch of Grey>가 나오는 부분에서는 눈물을 멈출 수가 없다.
음악을 모티브로 한 영화라서 그런 지, 스토리 처럼 60년대 명곡들이 깔리고 있다. 그레이트풀 데드, 밥 딜런(Bob Dylan), 비틀즈(The Beatles), 롤링 스톤즈(The Rolling Stones), 크로스비 스틸스 & 내쉬(Crosby, Stills & Nash), 버팔로 스프링필드(Buffalo Springfield)등.... 그리고 간간히 비쳐지는 밥 딜런과 그레이트풀 데드의 LP판들....
그럼, 극 중 아들이 그렇게 우상시하는 60년대 히피문화를 대변해 온 대표적인 밴드! 그레이트풀 데드는 어떤 밴드인 지 알아 보도록 하자.
그레이트풀 데드는 1965년 제리 가르시아를 중심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결성된 5인조 록밴드이다. 결성 후, 1년까지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하우스 밴드로 시작을 하게 되지만 이후, 실력을 인정 받아 여러 자선 쇼에 출연하게 되면서 당시 최고의 공연 기획자였던 빌 그래이엄(Bill Graham)과 더불어 최고의 인기 밴드였던 제퍼슨 에어플레인(Jefferson Airplane), 빅 브라더 & 더 홀딩 컴퍼니(Big Brother And The Holding Company)과도 친분을 맺게 된다. 1967년 이 세 밴드는 팝 역사상 최초라고 알려져 있는 국제 록 페스티발인 "몬테레이 팝 페스티발(Monterey Pop Festival)에도 나란히 출연하여 성황리에 공연을 마치기도 하였다.
때를 같이하여 1967년 샌프란시스코에는 음악 잡지 롤링 스톤이 창간 되었고, 타워 레코드가 오픈하는 등 다양한 문화적인 요소가 겹쳐져 그야말로 샌프란시스코는 문화, 라이프 스타일, 패션등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었고 또한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음악의 메카로 자리잡아 가고 있었다. 최고의 라이브 밴드로 인기를 구가하던 그레이트풀 데드는 1967년에 데뷔 앨범 [Grateful Dead]를, 1968년에 두번째 앨범 [Anthem of the Sun]을, 1969년에 [AOXOMOXOA]를 각각 발표하게 되지만 상업적인 성공은 거두지 못하였다.
1969년 그들의 첫 라이브 앨범이자 명반으로 기록되는 [Live/Dead]를 발표하여 라이브 강자로서의 면모를 여지없이 드러내 주었다. 1970년 상업적으로 가장 큰 성공을 거두게 되는 2장의 앨범을 출시하게 되는 데, 5집 [Workingman's Dead]와 6집 [American Beauty]가 그것으로 각각 100만장과 200만장의 높은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였다. 1971년 자작곡과 3곡의 커버곡 그리고 3곡의 신곡이 수록되어 있는 더블 라이브 앨범 [Grateful Dead]를 발표, 빌보드 앨범 차트 25위를 기록하였으며 5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였다. 전작이 더블 라이브 앨범임에도 상업적으로도 톡톡히 재미를 본 그레이트풀 데드는 1972년 트리플 라이브 앨범 [Europe '72]를 출시, 이 또한 20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였다.
1973년 그레이트풀 데드는 지금까지 몸담고 있었던 소속사 "워너"와 결별하고 자신들만의 레이블을 설립, [Wake of the Flood]와 1974년 [From the Mars Hotel], 그리고 [Blues For Allah]를 발표하여 차트 20권내에 진입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1977년 그들은 바쁜 일정 탓에 자신들의 레이블을 접게 되고 새로운 메이저 레이블인 "아리스타"와 계약, 당시 최고의 프로듀서 중 한명이었던 키스 올슨을 기용하여 [Terrapin Station]을 발표하였고, 1978년, 리틀 피트(Little Feat)의 기타리스트인 로웰 조지(Lowell George)의 프로듀서로 [Shakedown Street]과 1980년 [Go To Heaven]을 발표하는 등의 꾸준한 활동을 지속해 오고 있었으나 80년대 중반까지는 멤버들의 약물 과용과 헤로인 중독으로 인해 밴드는 기나긴 침체기에 들어서게 된다.
약 7년간의 기나긴 침묵으로 팬들을 안타깝게 했던 그레이트풀 데드는 1987년 데뷔 20주년을 맞아 스튜디오 앨범을 출시 하게 되는 데, 그들의 최고 히트 싱글인 <Touch of Grey>가 수록 된 [In The Dark]이다. <Touch of Grey>는 빌보드 싱글 차트 9위를 기록하였으며, 이에 힘입어 앨범은 200만장 이상이 팔려 나갔다. 1989년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인 [Built To Last]출시하였고, 1990년 그들의 실질적인 마지막 앨범이자 라이브 앨범인 [Without A Net]를 발표하였다. 1990년 밴드의 후반기를 책임지고 있었던 키보드 연주자 브렌트 미들랜드(Brent Mydland)가 헤로인 중독으로 사망하였고, 1995년에는 그레이트풀 데드의 리더이자 작곡을 도맡아 해왔던 제리 가르시아(Jerry Garcia)마저 지병으로 사망하게 되면서 밴드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사망원인은 심장마비였으며 향년 53세였다.
[ 그레이트풀 데드 대표작 ]
Grateful Dead - The Grateful Dead (1967)
Jerry Garcia – Lead guitar, vocals
Bill Kreutzmann – Drums, Percussion
Phil Lesh – Bass, Vocals
Ron "Pigpen" McKernan – Vox Continental Organ, Harmonica, Vocals
Bob Weir – Rhythm Guitar, Vocals
레코딩과 믹스를 불과 5일 만에 마쳤다는 그레이트풀 데드의 데뷔작이다. 60년대 후반 부터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오는 전통적인 블루스 록을 기반으로 한 작품들중의 하나이다. 컨트리 풍의 블루스 트랙 <Sitting on Top of the World>와 시카고 블루스의 고전 <Good Morning Little School Girl>, 즉흥연주가 빛을 발하는 앨범의 백미 <Viola Lee Blues>를 비롯하여 라이브시 단골로 연주되는 <Beat It On Down the Line>등을 수록하고 있다.
Grateful Dead - Viola Lee Blues
Grateful Dead - Anthem of the Sun (1968)
Jerry Garcia – Lead Guitar, Acoustic Guitar, Kazoo, Vibraslap, Vocals
Tom Constanten – Prepared Piano, Piano, Electronic Tape
Mickey Hart – Drums, Orchestra Bells, Gong, Chimes, Crotales, Piano, Finger Cymbals
Bill Kreutzmann – Drums, Glockenspiel, gong, Chimes, Crotales, Piano, Finger Cymbals
Phil Lesh – Bass, Trumpet, Harpsichord, Kazoo, Piano, Timpani, Vocals
Ron "Pigpen" McKernan – Hammond and Vox Organs, Celesta, Claves, Vocals
Bob Weir – Rhythm guitar, 12-String Guitar, acoustic Guitar, Kazoo, Vocals
그레이트풀 데드의 1968년 2번째 앨범이다. 드러머 미키 하트(Mickey Hart)와 건반주자 톰 콘스탄텐(Tom Constanten)의 가입으로 7인조 라인업이면서 라이브로 녹음 한 음원과 스튜디오에서의 녹음을 조합해서 만든 실험적인 앨범이다. 일렉트릭 테입과 프리페어드 피아노 쓰임새로 보면 현대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 존 케이지(John Cage)의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추천 트랙은 11분이 넘는 동안 명연을 들려주는 <Alligator>와 10분에 육박하는 앨범의 엔딩 트랙 <Caution(Do Not Stop on Tracks)>.
Grateful Dead - Alligator
Grateful Dead - AoxomoxoA (1969)
Tom Constanten – Keyboards
Jerry Garcia – Guitar, Vocals
Mickey Hart – Drums, Percussion
Bill Kreutzmann – Drums, Percussion
Phil Lesh – Bass, Vocals
Ron "Pigpen" McKernan – Keyboards, Percussion
Bob Weir – Guitar, Vocals
그레이트풀 데드의 첫 셀프 프로듀스 앨범으로 그들의 앨범 가운데서도 사이키델릭 색이 가장 강한 밴드의 초기 걸작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전작들에서 보여 준컨트리 노선과 블루스 록 스타일의 곡조도 결코 간과 할 수 없는 부분이라 하겠다. 초기 대표 곡으로 사랑받고 있는 <St. Stephen>과 <China Cat Sunflower> 를 비롯, 그들만의 전매특허라고 할 수 있는 미묘한 텐션의 명곡 <Dupree 's Diamond Blues >, 생각 외의 아름다운 멜로디를 들려주는 <Mountain 's Of The Moon>등이 수록되어 있다.
Grateful Dead - Dupree 's Diamond Blues
Grateful Dead - Live/Dead (1969)
Tom Constanten – Organ
Jerry Garcia – Guitar, Vocals
Mickey Hart – Drums, Percussion
Bill Kreutzmann – Drums, Percussion
Phil Lesh – Bass, Vocals
Ron "Pigpen" McKernan – Vocals, Congas, Organ
Bob Weir – Guitar, Vocals
Robert Hunter - Spoken Word
그레이트풀 데드의 첫 라이브 앨범으로 즉흥연주를 기반으로 한 명연이 인상적이다. 초기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 제퍼슨 에어플레인(Jefferson Airplane), 도어스(The Doors)에 비하면 싸이키델릭한 요소가 극히 미미한 수준이지만 잼 밴드로서의 면모를 확실히 보여주는 명반. 23분이 넘는 시간 동안 그레이트 풀 데드의 장점이 응축 된 명곡<Dark Star>, 블루 그래스, 컨트리의 영향을 엿볼 수있는 <Saint Stephen>, 최고의 연주력을 감상 할 수 있는 <Turn On Your Lovelight>, 올갠과 기타 솔로가 빛을 발한는 <Death Do not Have No Mercy>등이 수록되어 있다.
Grateful Dead - Dark Star
Grateful Dead - Workingman's Dead (1970)
Jerry Garcia – Guitars, Banjo, Vocal
Bob Weir – Guitar, Vocals
Ron "Pigpen" McKernan – Keyboards, Harmonica, Vocals
Phil Lesh – Bass, Vocals
Bill Kreutzmann – Drums, Percussion
Mickey Hart – Drums, Percussion
Tom Constanten – Keyboards
이미 확립 된 잼/ 프리 사이키델릭 사운드에서 탈피, 컨트리와 포크 사운드를 도입하여 같은 시기에 인기였던 크로스비, 스틸스, 내쉬 & 영(CSN & Y) 등을 의식한 어쿠스틱 사운드와 보컬 하모니등이 강화 된 초기 그레이트풀 데드의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앨범이자 대표작으로 평가 받는다. 앨범 판매고에 큰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효자곡<Uncle John's Band><Casey Jones >가 수록되어 있다.
Grateful Dead - Uncle John's Band
Grateful Dead - American Beauty (1970)
Jerry Garcia – Guitars, Piano, Vocals
Mickey Hart – Percussion
Bill Kreutzmann – Drums
Phil Lesh – Bass, Guitar, Piano, Vocals
Ron "Pigpen" McKernan – Harmonica, Vocals
Bob Weir – Guitar, Vocals
전 작의 연장선상에 있는 앨범으로 [Workingman's Dead]가 밴드 사운드의 전환점을 가져왔다면 본 작은 변화된 사운드를 확립시킨 앨범으로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가져다 주었다. 2번째 앨범부터 키보드 연주자로 크게 활약했던 톰 콘스탄텐(Tom Constanten)이 탈퇴, 6인조로 제작되었다. 아름다운 보컬 하모니를 들려주는 오프닝 넘버 <Box of the Rain>, 그레이트풀 데드 식 컨트리 송 <Sugar Magnolia>, 밴드의 대표곡 중 하나인 <Ripple>, 제리 가르시아의 보컬과 페달 스틸 기타, 밴조가 멋지게 어우러지는 <Candyman>, 밴드의 또 다른 대표곡 <Truckin> 등이 수록되어 있다.
Grateful Dead - Candyman
Grateful Dead - Europe '72 (1972)
Jerry Garcia – Lead guitar, Vocals
Bob Weir – Rhythm Guitar, Vocals
Phil Lesh – Bass, Vocals
Ron "Pigpen" McKernan – Organ, Harmonica, Vocals
Keith Godchaux – Piano
Bill Kreutzmann – Drums
Donna Godchaux – Backing Vocals
1972년, 그 해 유럽 투어에서 하이라이트를 담은 라이브 앨범으로 그레이트풀 데드에게는 3번째로 출시되는 라이브 앨범이 된다. LP로는 3장 세트. 그들이 발표 한 8장의 라이브 앨범 중 1969년 [Live/Dead]와 함께 필청작으로 손꼽히고 있는 걸작.
Grateful Dead - Truckin'
Grateful Dead - Wake of the Flood (1973)
Jerry Garcia – Guitars, Vocals
Donna Jean Godchaux – Vocals
Keith Godchaux – Keyboards, Vocals
Phil Lesh – Bass
Bill Kreutzmann – Drums
Bob Weir – Guitar, Vocals
이 1973년, 그레이트풀 데드는 또 한번의 음악적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원년 멤버인 키보드 겸 보컬리스트의 피그펜(Ron "Pigpen" McKernan)이 간경변으로 사망하게 되면서 멤버 교체가 있었고, 메이저 레이블 "워너"를 떠나 자신들만의 독립 레이블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본 작은 "그레이트풀 데드 레코드"에서 발매되는 첫번째 앨범이 된다. 그리고 포크, 블루그래스, 컨트리 색체에서 AOR 느낌이 물씬 풍기는 도시적이고 세련된 보컬 하모니, 그루비한 리듬과 한층 더 강화 된 멜로디를 탑재 시켰다. 재즈 씬에서 활약한 새로운 키보드 연주자 키스 갓초(Keith Godchaux)의 활약이 돋보이는 <Mississippi Half-Step Uptown Toodeloo>, 음악적인 변화를 확실히 느끼게 해 주는 그루비한 펑키 넘버 <Eyes Of The World>, 블루지한 애절한 발라드 <Stella Blue>, 13분에 육박하는 3부작 구성의 <Weather Report Suite>등이 수록되어 있다.
Grateful Dead - Wake of the Flood
Grateful Dead - Blues for Allah (1975)
Jerry Garcia – Lead guitar, Vocals
Donna Jean Godchaux – Vocals
Keith Godchaux – Keyboards, Vocals
Bill Kreutzmann – Drums
Phil Lesh – Bass, Vocals
Bob Weir – Guitar, Vocals
Mickey Hart – Percussion, Crickets
1970년 출시작 [American Beauty]를 끝으로 그레이트풀 데드를 탈퇴했었던 드러머 미키 하트(Mickey Hart)가 재가입 해 만든 8번째 앨범이다. 퓨전적인 요소가 더욱 강해진 앨범으로 잼 밴드로서의 높은 역량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빌보드 앨범 차트 12위 까지를 기록함으로써 그들의 앨범 가운데서는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이다.
Grateful Dead - The Music Never Stopped
Grateful Dead - Terrapin Station (1977)
Jerry Garcia – Lead guitar, Vocals
Donna Jean Godchaux – Vocals
Keith Godchaux – Keyboards, Vocals
Bill Kreutzmann – Drums
Phil Lesh – Bass, Vocals
Bob Weir – Guitar, Vocals
Mickey Hart – Drums, Percussion
그레이트풀 데드는 독자적인 레이블에서 여러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메이저 레이블인 "아리스타" 레코드로 이적한다. 본 작은 1978년에 출시 된 작품으로 그레이트 풀 데드에게는 9 번째 앨범이 되며, 70년대 최고의 프로듀서 중 한명인 키스 올슨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컨트리에서 부터 포크, 블루그래스, 싸이키델릭, 블루스, 퓨전, 팝 등 지금까지 그들이 해 왔던 모든 장르를 이 한 장의 앨범안에 담아 놓은 듯한 느낌이다. 16분이 넘는 대작 <Terrapin Station Part 1>, 도나 가쵸가 리드 보컬을 맡고 있는 <Sunrise>, 마사 앤 더 반델라스(Martha and the Vandellas)의 곡을 커버한 <Dancin 'in the Streets>등이 추천곡이 된다.
Grateful Dead - Terrapin Station Part 1
Grateful Dead - In the Dark (1987)
Jerry Garcia – Lead guitar, Vocals
Brent Mydland – Keyboards, Vocals
Bill Kreutzmann – Drums
Phil Lesh – Bass, Vocals
Bob Weir – Guitar, Vocals
Mickey Hart – Drums, Percussion
1980년에 발표 된 [Go To Heaven]이후, 7년 만의 신작으로 그들에게는 결성 20주년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는 통산 12번째 앨범으로 제리 가르시아(Jerry Garcia)와 존 커틀러(John Cutler)가 공동 프로듀스를 맡고 있다. 그들의 전 앨범을 통틀어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앨범으로 기록되며 첫 빌보드 탑 10 내의 히트 싱글이 배출되기도 하였다. 영화 "뮤직 네버 스탑"에서 자주 등장하는 그들의 최고의 싱글 <Touch of Grey>, 또 다른 인기 곡 <Throwing Stones>, 브루스 스프링스틴(Bruce Springsteen)이 커버했던 <Tons of Steel>등이 수록되어 있다.
Grateful Dead - Touch of Grey
'문화-연예 > 음악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ssroads 랄프마치오의 십자로 (1986) (0) | 2017.03.08 |
---|
- 70년대 팝명곡
- 칸초네
- 80년대 락명곡
- 빌보드 1위
- 깐초네
- 70년대 록명곡
- 산레모 페스티발
- 빌보드 싱글 1위
- 산레모 음악 축제
- 빌보드 100 1위
- 깐쪼네
- 80년대 팝명곡
- 올드록명곡
- 추천팝송
- 팝명곡
- 올드락명곡
- 팝송명곡
- 팝추천
- 팝송추천
- 발라드명곡
- 60년대 팝명곡
- 80년대 록명곡
- 록명곡
- 올드팝 명곡
- 발라드 명곡
- 빌보드 핫 1위
- 빌보드 핫 100 1위
- 록명반
- 올드팝명곡
- 빌보드 차트 1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