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OST - Doctor Zhivago (1966)

(1966. 11. 5 ~ 1966. 11. 11) - 1주간


The Monkees - The Monkees (1966)

(1966. 11. 12 ~ 1967. 02. 10) - 13주간







OST - Doctor Zhivago (1966)


MGM Studio Orchestra

Maurice Jarre - Conductor


1. Overture From "Doctor Zhivago" (Maurice Jarre)

2. Main Title From "Doctor Zhivago" (Maurice Jarre)

3. Lara Leaves Yuri (Maurice Jarre)

4. At The Student Cafe (Maurice Jarre)

5. Komarovsky And Lara's Rendezvous (Maurice Jarre)

6. Revolution (Maurice Jarre)

7. Lara's Theme From "Doctor Zhivago" (Maurice Jarre)

8. The Funeral (Maurice Jarre)

9. Sventytski's Waltz (Maurice Jarre)

10. Yuri Escapes (Maurice Jarre)

11. Tonya Arrives At Varykino (Maurice Jarre)

12. Yuri Writes A Poem For Lara (Maurice Jarre)



영화 '닥터 지바고'는 1965년에 미국에서 개봉했던 영화로, 러시아의 문호 '파스테르나크'의 소설을 영화화 한 작품이다. 음악은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등에서 음악감독을 맡았던 프랑스 태생의 작곡가이자 편곡가인 모리스 자르(Maurice Jarre)이며, 영화에서 엔딩으로 사용되었던 곡이 저 유명한 '라라의 테마'가 된다.


■ 앨범은 1966년 11월 5일 부터 1주간 빌보드 앨범 차트 1위에 올랐으며, 같은 해 미국의 여성 팝가수 코니 프랜시스(Connie Francis)가 가사를 붙여 싱글로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크게 사랑을 받기도 하였다.


■ 참고로, 모리스 자르는 프랑스의 세계적인 전자 음악가 쟝 미셸 자르(Jean Michel Jarre)의 부친이다.






Lara's Theme


Yuri Writes A Poem For Lara


====================================================================




The Monkees - The Monkees (1966)


Micky Dolenz - Vocals

Davy Jones - Vocals

Michael Nesmith - Vocals

Peter Tork - Guitar

Tommy Boyce, Bobby Hart, Wayne Erwin, Ron Hicklin - Backing vocals

Wayne Erwin, Gerry McGee, Louie Shelton, James Burton, Glen Campbell, Al Casey, James Helms, Don Peake - Guitar

Larry Taylor, William Pitman, Bob West - Bass

Billy Lewis, Hal Blaine, Frank DeVito, Jim Gordon - Drums

Gene Estes, Gary Coleman, Jim Gordon, David Walters - Percussion, Tambourine

Bobby Hart, Larry Knechtel - Organ, Glockenspiel

Michel Rubini - Harpsichord

Bonnie Douglas, Paul Shure, Jimmy Bryant - Violin

Myra Kestenbuam - Viola

Fred Seykora, Joseph Ditullio - Cello

Keith Allison - Harmonica

Jack Keller, Larry Knechtel, Billy Preston - Piano

Bob Cooper - Oboe


1. (Theme from) The Monkees (Tommy Boyce and Bobby Hart)

2. Saturday's Child (David Gates)

3. I Wanna Be Free (Tommy Boyce and Bobby Hart)

4. Tomorrow's Gonna Be Another Day (Tommy Boyce, Steve Venet)

5. Papa Gene's Blues (Michael Nesmith)

6. Take a Giant Step (Gerry Goffin, Carole King)

7. Last Train to Clarksville (Tommy Boyce and Bobby Hart) - 1966년, 빌보드 싱글 차트 1위

8. This Just Doesn't Seem to Be My Day (Tommy Boyce and Bobby Hart)

9. Let's Dance On (Tommy Boyce and Bobby Hart)

10. I'll Be True to You (Gerry Goffin, Russ Titelman)

11. Sweet Young Thing (Gerry Goffin, Carole King, Michael Nesmith)

12. Gonna Buy Me a Dog (Tommy Boyce and Bobby Hart)





몽키스는 비틀즈에 대항하기 위해 미국의 음반 및 출판 회사인 "스크린 젬스"의 주최로 개최된 오디션에서 선발된 4명으로 구성된 밴드로, 셀프 타이틀 앨범인 1966년작 [The Monkees]는 몽키스의 데뷔작이 된다.


■ 멤버는 미키 도렌즈(Micky Dolenz), 데이비 존스(Davy Jones), 마이클 네스미스(Michael Nesmith), Peter Tork(피터 토크)이며, 본 작에서는 피터 토크만이 기타를 연주했으며, 나머지 멤버는 모두 보컬에만 참여하였다. 이외의 모든 악기의 연주는 스튜디오 전문 세션맨들로 채우게 된다.


■ 스크린 젬스는 당시 미국인들에게 몽키스를 각인 시키기 위해 수시로 TV를 이용해 노출시켰으며, 데뷔작의 수록곡도 토미 보이스(Tommy Boyce), 바비 하트(바비 하트), 캐롤 킹(Carol King)등 당대 최고의 작곡가들의 곡들을 위주로 수록하게 된다.


■ 수록곡 중에서는 <Last Train to Clarksville>와 <Take a Giant Step>가 싱글로 채택되어 출시되었으며, 리드 싱글인 <Last Train to Clarksville>이 1966년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하였다. 앨범은 500만장 가까운 앨범 판매고를 기록하게 되면서 1966년 11월 12일 부터 이듬 해인 1967년 2월 10일 까지 12주간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하게 된다.



The Monkees - Last Train to Clarksville

반응형